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블록체인
- ERC20
- 제어의역전
- NFT
- github
- 네트워크
- web3
- tcp
- MySQL
- git
- web3.js
- ethers
- 이더리움
- Python
- Ethereum
- truffle
- web
- Programming
- erc721
- 트랜잭션
- geth
- blockchain
- ERC165
- Docker
- 솔리디티
- 스마트 컨트랙트
- JavaScript
- solidity
- server
- erc
- Today
- Total
멍개의 연구소
[블록체인] 파이썬으로 블록체인을 구현해보자 - 1 (블록생성, 트랜젝션 생성, POW, 마이닝) 본문
파이썬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블록체인 구현
블록체인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블록체인 기본구조
파일명: blockchain.py
class Blockchain(object):
def __init__(self):
self.chain = []
self.current_transactions = []
def new_block(self):
pass
def new_transaction(self):
pass
@staticmethod
def hash(self):
pass
@property
def last_block(self):
pass
블록체인 거대해 보이지만 가볍게 시작을 합니다.
2. 블록의 모습
블록체인이니 최소단위인 블록을 어떻게 만들지 생각을 해보자.
block = {
'index': 1,
'timestamp': 1506057125.900785,
'transactions': [
{
'sender': "8527147fe1f5426f9dd545de4b27ee00",
'recipient': "a77f5cdfa2934df3954a5c7c7da5df1f",
'amount': 5,
}
],
'proof': 324984774000,
'previous_hash': "2cf24dba5fb0a30e26e83b2ac5b9e29e1b161e5c1fa7425e73043362938b9824"
}
블록들은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저장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만 저장을 한다면 해킹을 당할 우려가 있습니다.
이제 하나씩 기능을 구현해보겠습니다.
3. 블록에 트랜젝션 추가
class Blockchain(object):
. . .
def new_transaction(self, sender, recipient, amount):
self.current_transactions.append({
'sender': sender,
'recipient': recipient,
'amount': amount,
})
return self.last_block['index'] + 1
해당 메소드는 보내는 주소, 받는 주소, 돈의 양을 인자로 받고 트랜젝션 리스트에 추가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지막 블록의 다음번 블록을 반환합니다.
4. 새로운 블록 생성
블록체인에서 가장 최초의 블록인 genesis block을 생성해야 합니다.
import hashlib
import json
from time import time
class Blockchain(object):
def __init__(self):
self.chain = []
self.current_transactions = []
self.new_block(previous_hash=1, proof=100) # genesis block
def new_block(self, proof, previous_hash=None):
block = {
'index': len(self.chain) + 1,
'timestamp': time(),
'transactions': self.current_transactions,
'proof': proof,
'previous_hash': previous_hash or self.hash(self.chain[-1])
}
self.current_transactions = []
self.chain.append(block)
return block
def new_transaction(self, sender, recipient, amount):
self.current_transactions.append({
'sender': sender,
'recipient': recipient,
'amount': amount,
})
return self.last_block['index'] + 1
@staticmethod
def hash(block):
block_string = json.dumps(block, sort_keys=True).encode()
return hashlib.sha256(block_string).hexdigest()
@property
def last_block(self):
return self.chain[-1]
여기에는 블록을 생성하고 해당 블록이 생성되는 원리가 들어있습니다.
5. 작업증명(POW)
POW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거나 채굴하는 방법입니다.
작업증명의 원리는 어떤 정수 x가 있을때 다른 수인 y를 곱해서 0으로 끝나야 한다고 결정됬다면, hash(x*y) = ac23dc. . . 0이 되는 수를 찾는 겁니다.
from hashlib import sha256
x = 5
y = 0
while sha256(str(x*y).encode()).hexdigest()[-1] != "0":
y += 1
print('The solution is y = {0}'.format(y))
해당 코드를 실행시키면 y가 21이 됩니다. 우리는 가상화페를 채굴하면 할 수록 점점 채굴하는 속도가 느려진다고 알 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문제가 어려워 지기때문으로 알고있는데 그게 바로 저 0값이 점점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 값을 찾으면 우리는 보상으로 해당 코인을 얻게되는 겁니다.
비트코인에서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을 Hashcash라고도 합니다.
6. 작업증명(POW) 구현
import hashlib
import json
from time import time
from uuid import uuid4
class Blockchain(object):
def __init__(self):
self.chain = []
self.current_transactions = []
self.new_block(previous_hash=1, proof=100) # genesis block
def new_block(self, proof, previous_hash=None):
block = {
'index': len(self.chain) + 1,
'timestamp': time(),
'transactions': self.current_transactions,
'proof': proof,
'previous_hash': previous_hash or self.hash(self.chain[-1])
}
self.current_transactions = []
self.chain.append(block)
return block
def new_transaction(self, sender, recipient, amount):
self.current_transactions.append({
'sender': sender,
'recipient': recipient,
'amount': amount,
})
return self.last_block['index'] + 1
@staticmethod
def hash(block):
block_string = json.dumps(block, sort_keys=True).encode()
return hashlib.sha256(block_string).hexdigest()
@property
def last_block(self):
return self.chain[-1]
def proof_of_work(self, last_proof):
proof = 0
while self.valid_proof(last_proof, proof) is False:
proof += 1
return proof
@staticmethod
def valid_proof(last_proof, proof):
guess = str(last_proof * proof).encode()
guess_hash = hashlib.sha256(guess).hexdigest()
return guess_hash[:4] == "0000"
위에서 짠 코드를 블록체인 내부에 넣었습니다. 해당 코드에서는 작업증명시 난이도는 항상 해시한 값의 앞의 4개가 0000으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 것을 난이도라고 부릅니다. 블록에서는 이를 difficulty라고 하고 0000을 nonce라고 합니다.
● API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제공
앞에서 만든 블록체인을 API로 제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의 API를 만들어 볼겁니다.
1. /transaction/new : 블록을 위한 새로운 트랜젝션 생성합니다.
2. /mine : 서버에게 새로운 블록을 채굴하기 위해 알립니다.
3. /chain : 블록체인 전체를 반환합니다.
파일명 : server.py
앞에서 만든 블록체인 모듈을 import 시켜서 서버에서 사용하도록 합니다.
1. API 뼈대 생성
from flask import Flask
import flask
import json
from textwrap import dedent
from uuid import uuid4
from blockchain import Blockchain
app = Flask(__name__)
node_identifier = str(uuid4()).replace('-', '')
blockchain = Blockchain()
@app.route('/mine', methods=['GET'])
def mine():
return "We'll mine a new Block"
@app.route('/transactions/new', methods=['POST'])
def new_transaction():
return "We'll add a new transaction"
@app.route('/chain', methods=['GET'])
def full_chain():
response = {
'chain': blockchain.chain,
'length': len(blockchain.chain),
}
return flask.jsonify(response), 200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0.0.0.0', port=5000)
크게 어렵지 않은 코드입니다. uuid4는 실행될 때마다 다른 값을 반환하는 모듈입니다. 우선 각 API를 요청해보겠습니다.
▶ /chain 요청
현재 블록이 하나있습니다. 이 블록은 처음 서버가 실행될 때 만들어지는 블록입니다
▶ /transactions/new 접속
이번에는 그냥 단순한 문장이 반환됩니다. 서버에서 return "We'll add a new transaction"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트랜젝션이 추가되는건 추가이기 때문에 POST 요청을 합니다. 물론 GET으로 해도상관없지만 HTTP 메소드 정의에 의해서 구현합니다.
▶ /mine 접속
/transaction/new랑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단지 요청 메소드만 GET을 사용합니다.
2. 트랜젝션 앤드포인트 구현
이번에는 트랜젝션을 발생시켜 보겠습니다. blockchain.py에서 new_transaction() 메소드를 보면 3개의 인자를 받게 됩니다. sender, recipient, amount인데 이것을 사용자로부터 받습니다.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sender, recipient, amount를 받으면 blockchain으로 생성한 인스턴스에서 new_transaction() 메소드를 호출합니다
from flask import Flask, jsonify, request
import json
from textwrap import dedent
from uuid import uuid4
from blockchain import Blockchain
app = Flask(__name__)
node_identifier = str(uuid4()).replace('-', '')
blockchain = Blockchain()
@app.route('/mine', methods=['GET'])
def mine():
return "We'll mine a new Block"
@app.route('/transactions/new', methods=['POST'])
def new_transaction():
values = request.get_json()
required = ['sender', 'recipient', 'amount']
if not all(k in values for k in required):
return 'missing values', 400
index = blockchain.new_transaction(values['sender'], values['recipient'], values['amount'])
response = {'message': 'Transaction will be added to Block {0}'.format(index)}
return jsonify(response), 201
@app.route('/chain', methods=['GET'])
def full_chain():
response = {
'chain': blockchain.chain,
'length': len(blockchain.chain),
}
return jsonify(response), 200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0.0.0.0', port=5000)
▶ /chain 접속
▶ /transactions/new
현재 블록이 추가되어 2번째 인덱스를 가리키게 됩니다.
3. 마이닝 앤드포인트 구현
POW를 하여 블록을 찾습니다. 찾은 블록은 체인에 붙입니다.
from flask import Flask, jsonify, request
import json
from textwrap import dedent
from uuid import uuid4
from blockchain import Blockchain
app = Flask(__name__)
node_identifier = str(uuid4()).replace('-', '')
blockchain = Blockchain()
@app.route('/mine', methods=['GET'])
def mine():
last_block = blockchain.last_block
last_proof = last_block['proof']
proof = blockchain.proof_of_work(last_proof)
blockchain.new_transaction(
sender='0',
recipient=node_identifier,
amount=1
)
previous_hash = blockchain.hash(last_block)
block = blockchain.new_block(proof, previous_hash)
response = {
'message': 'new block forged',
'index': block['index'],
'transactions': block['transactions'],
'proof': block['proof'],
'previous_hash': block['previous_hash']
}
return jsonify(response), 200
@app.route('/transactions/new', methods=['POST'])
def new_transaction():
values = request.get_json()
required = ['sender', 'recipient', 'amount']
if not all(k in values for k in required):
return 'missing values', 400
index = blockchain.new_transaction(values['sender'], values['recipient'], values['amount'])
response = {'message': 'Transaction will be added to Block {0}'.format(index)}
return jsonify(response), 201
@app.route('/chain', methods=['GET'])
def full_chain():
response = {
'chain': blockchain.chain,
'length': len(blockchain.chain),
}
return jsonify(response), 200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0.0.0.0', port=5000)
이제 블록체인 서버가 완성되었습니다.
● 블록체인 서버 다루기
▶ /mine 요청
▶ /transactions/new 요청
트랜젝션을 추가한 후 다시 /mine을 요청해봅니다.
방금 추가한 트랜젝션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이제 다시 chain으로 확인해봅니다
한 블록내부에 방금 추가된 트랜젝션이 추가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블록체인이 어떤식으로 이루어 지는지 코드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블록체인은 모두 분산화 되어 있습니다. 즉, 분산 되어있는 것들을 같은 사슬을 반영시켜야 하는데 이를 Consensus의 문제라고 합니다. 네트워크에 노드 두 개 이상인 경우 Consensus 알고리즘으로 이를 해결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서 동일한 블록을 가지게 하는 알고리즘 입니다. 서로 다른 환경에 있다보니 서로 가지고 있는 블록의 정보가 다르게 되는데 이것을 통일시키는 알고리즘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Consensus는 다음 포스팅에서 찾아뵙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다음 글을 번역한 내용이며, 일부 개인적인 생각을 포함한 곳이 있습니다.
https://hackernoon.com/learn-blockchains-by-building-one-117428612f46
또한 다음 코드를 일부 참고 했습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ledge fabric] fabric 기반 블록체인 기술을 익히는데 필요한 용어 (0) | 2022.08.27 |
---|---|
[ethereum] Token, ICO 1편 - 동작과정 (0) | 2022.08.27 |
[ethereum] 토큰 발행/ICO 까지 개념, 테스트 완료 (0) | 2022.08.27 |
[블록체인] 파이썬으로 블록체인을 구현해보자 - 2 (Consensus) (0) | 2022.08.27 |
[가상화페] 화폐, 가상화폐 (1) | 2022.08.27 |